괜히 괴롭고 초조하고…'大2병'을 아시나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홈런볼 작성일16-05-31 10:11본문
입시경쟁서 생존만 강요… 청소년기 정체성 확립 실패 탓
알바ㆍ학업ㆍ스펙 스트레스에 ‘3중고’
정체성 찾을 ‘유예기간’도 빼앗긴 시대
“N포 세대 출발점… 만성우울증 위험성도”
대학가에 신입생티를 벗고 2학년이 된 후 취업과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생기는 ‘대2병(大二病)’이 유행이다. 자기 정체성을 확립해야 대2병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게 전문의들의 조언이다. 게티이미지뱅크
대학 2학년만 되면 어김없이 걸리는 병이 바로 ‘대2병(大二病)’이다. 이 병에 노출되면 학업은 고사하고 인생이 괴롭고 허무해진다. 20대 청춘들이 이 병 때문에 속절없이 쓰러지고 있다. 학생들은 “메르스, 지카바이러스보다 대2병이 무섭다”고 말한다. 왜 대학 2학년만 되면 이 병이 도질까.
알바에 학업… 스펙쌓기까지 ‘3중고’
우선 대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서울 중상위권 대학 화공생물공학과 2학년생에 재학 중인 박모(25)씨는 “군대를 다녀와서 그런지 몰라도 취업걱정으로 초조하다”면서 “선배들처럼 취업하면 좋겠지만 취업해도 회사에서 오래 버틸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박씨는 “솔직히 졸업 후 무얼 할지 모르겠다”면서 “부모님은 대학원에 진학해 박사학위를 취득하라고 하는데 어렵게 이를 받아도 교수가 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취업과 학업 사이에서 방황을 하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대학의 사회학과 2학년생인 한모(22ㆍ여)씨는 “1학년 때는 과제를 쉽게 해결했는데 2학년이 되니 과제 제출하기도 벅차고, 여기에 학비마련을 위해 알바까지 해야 한다”면서 “선배들이나 교수님들은 미래에 무엇이 될지 시간을 갖고 생각하라고 하지만 솔직히 시간적 여유가 없다”고 토로했다. 한씨는 “스펙을 쌓으려고 학교 홍보대사도 하고, 기업에서 개최하는 공모전에도 응모하고, 블로그도 운영하고 있지만 원하는 곳에 취업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면서 “취업대신 개인사업을 하고 싶은데 가정형편이 넉넉지 않아 엄마 아빠에게 말도 꺼내지 못했다”고 말했다.
대2병을 어떻게 진단할까.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은 “대학입시 경쟁에 휘말려 청소년기에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해 대2병에 걸릴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신체ㆍ연령적으로는 성인 반열에 올랐지만 정신적으로 성숙하지 못해 대2병에 노출된다는 것이다. 전문의들은 에릭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을 근거로 제시한다. 나해란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발달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청소년기에 ‘정체성 대(對) 혼돈’시기를 맞는데 이 때 ‘내가 누구인지,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개념이 형성되지 못하면 성인이 돼 정체성에 혼란을 겪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체성 없어 이성교제 기피… N포 세대 출발점
전문의들은 청소년기에 집단에 소속돼 집단의 책임과 의무를 완수하는 ‘소속감’과 가정을 벗어나 새로운 것을 찾는 ‘탐색’을 경험해야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고 말한다. 모범생으로 자라나 대기업에 취업해 부모가 원하는 배우자를 만나는 정형화된 삶을 선택하는 이들은 소속감은 있지만 탐색할 용기가 없는 이들이다. 반대로 취업을 미룬 채 새로운 전공을 선택하거나 자격증 취득에만 골몰한다면, 집단에 소속되는 것을 기피하는 실체가 없는 인간이 될 수 있다. 나 교수는 “대학 2학년은 인생에서 최초로 ‘책임’을 느끼는 시기”라면서 “자아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책임과 성과를 내야 해 고통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대학생들은 연애하고, 술 마시고, 학생운동으로 정체성을 찾았지만 지금 대학생들은 이런 유예기간마저 실종됐다”고 안타까워했다.
조재희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상담을 하면 학생들이 미래 불확실성 때문에 힘들어 한다”면서 “적어도 대학 2학년까지는 낭만을 가져야 한다고 말하고 싶지만 학과공부는 물론 취업준비로 정신 없는 학생들에게 이런 말을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쓴웃음을 지었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은 대2병이 연애, 결혼, 출산 등을 포기하는 ‘N포 세대’의 출발점이라고 말한다. 자아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아 다음 단계인 ‘친밀감 대(對) 고립감’ 시기로 넘어갈 수 없기 때문이다. 전문의들은 “20~40대 가족이 아닌 이성에 친밀감이 형성돼야 연애든 결혼이 가능한데 정체성이 낮아 이성에 대한 관심이나 친밀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연애와 결혼 등을 포기하는 도미노 현상이 생긴다는 것이다. 한 대학 2학년 남학생은 “이성교제를 하려면 하루 5만~6만원 정도 데이트 비용이 든다”면서 “연애 잘 한다고 취업되는 것도 아니고, 경제 부담을 느껴 이성교제는 삼가고 있다”고 했다. 전문의들은 대2병이 지속되면 우울과 피로가 겹치는 만성 정신질환에 시달릴 수 있다고 경고한다. 조아랑 강동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우울한 기분을 해소하려고 술ㆍ담배 등에 의존하면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말했다.
대2병에서 탈피하려면 경쟁이 아닌 삶을 성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전문의들은 조언한다. 조 교수는 “원론적이지만 삶은 무엇인가를 마련해 놓고 즐기는 것이 아닌 하루하루 과정이 중요하다”면서 “자기 정체성, 가치관부터 세워야 대2병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했다. 학과 친구ㆍ선배 등에게 취업 문제 등 고민을 털어 놓는 것도 효과적이다. 우리 뇌는 타인에게 고민을 털어 놓으면 문제를 객관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원은수 고대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혼자 문제를 풀겠다고 고민하면 문제 자체가 왜곡될 수 있다”면서 “객관적으로 고민을 들어줄 수 있는 사람과 이야기하면 하지 않아도 될 염려와 걱정을 덜 수 있다”고 조언했다.
김치중 의학전문기자
[대2병 진단표]
알바ㆍ학업ㆍ스펙 스트레스에 ‘3중고’
정체성 찾을 ‘유예기간’도 빼앗긴 시대
“N포 세대 출발점… 만성우울증 위험성도”
대학가에 신입생티를 벗고 2학년이 된 후 취업과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생기는 ‘대2병(大二病)’이 유행이다. 자기 정체성을 확립해야 대2병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게 전문의들의 조언이다. 게티이미지뱅크
대학 2학년만 되면 어김없이 걸리는 병이 바로 ‘대2병(大二病)’이다. 이 병에 노출되면 학업은 고사하고 인생이 괴롭고 허무해진다. 20대 청춘들이 이 병 때문에 속절없이 쓰러지고 있다. 학생들은 “메르스, 지카바이러스보다 대2병이 무섭다”고 말한다. 왜 대학 2학년만 되면 이 병이 도질까.
알바에 학업… 스펙쌓기까지 ‘3중고’
우선 대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서울 중상위권 대학 화공생물공학과 2학년생에 재학 중인 박모(25)씨는 “군대를 다녀와서 그런지 몰라도 취업걱정으로 초조하다”면서 “선배들처럼 취업하면 좋겠지만 취업해도 회사에서 오래 버틸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박씨는 “솔직히 졸업 후 무얼 할지 모르겠다”면서 “부모님은 대학원에 진학해 박사학위를 취득하라고 하는데 어렵게 이를 받아도 교수가 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취업과 학업 사이에서 방황을 하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대학의 사회학과 2학년생인 한모(22ㆍ여)씨는 “1학년 때는 과제를 쉽게 해결했는데 2학년이 되니 과제 제출하기도 벅차고, 여기에 학비마련을 위해 알바까지 해야 한다”면서 “선배들이나 교수님들은 미래에 무엇이 될지 시간을 갖고 생각하라고 하지만 솔직히 시간적 여유가 없다”고 토로했다. 한씨는 “스펙을 쌓으려고 학교 홍보대사도 하고, 기업에서 개최하는 공모전에도 응모하고, 블로그도 운영하고 있지만 원하는 곳에 취업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면서 “취업대신 개인사업을 하고 싶은데 가정형편이 넉넉지 않아 엄마 아빠에게 말도 꺼내지 못했다”고 말했다.
대2병을 어떻게 진단할까.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은 “대학입시 경쟁에 휘말려 청소년기에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해 대2병에 걸릴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신체ㆍ연령적으로는 성인 반열에 올랐지만 정신적으로 성숙하지 못해 대2병에 노출된다는 것이다. 전문의들은 에릭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을 근거로 제시한다. 나해란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발달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청소년기에 ‘정체성 대(對) 혼돈’시기를 맞는데 이 때 ‘내가 누구인지,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개념이 형성되지 못하면 성인이 돼 정체성에 혼란을 겪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체성 없어 이성교제 기피… N포 세대 출발점
전문의들은 청소년기에 집단에 소속돼 집단의 책임과 의무를 완수하는 ‘소속감’과 가정을 벗어나 새로운 것을 찾는 ‘탐색’을 경험해야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고 말한다. 모범생으로 자라나 대기업에 취업해 부모가 원하는 배우자를 만나는 정형화된 삶을 선택하는 이들은 소속감은 있지만 탐색할 용기가 없는 이들이다. 반대로 취업을 미룬 채 새로운 전공을 선택하거나 자격증 취득에만 골몰한다면, 집단에 소속되는 것을 기피하는 실체가 없는 인간이 될 수 있다. 나 교수는 “대학 2학년은 인생에서 최초로 ‘책임’을 느끼는 시기”라면서 “자아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책임과 성과를 내야 해 고통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대학생들은 연애하고, 술 마시고, 학생운동으로 정체성을 찾았지만 지금 대학생들은 이런 유예기간마저 실종됐다”고 안타까워했다.
조재희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상담을 하면 학생들이 미래 불확실성 때문에 힘들어 한다”면서 “적어도 대학 2학년까지는 낭만을 가져야 한다고 말하고 싶지만 학과공부는 물론 취업준비로 정신 없는 학생들에게 이런 말을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쓴웃음을 지었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은 대2병이 연애, 결혼, 출산 등을 포기하는 ‘N포 세대’의 출발점이라고 말한다. 자아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아 다음 단계인 ‘친밀감 대(對) 고립감’ 시기로 넘어갈 수 없기 때문이다. 전문의들은 “20~40대 가족이 아닌 이성에 친밀감이 형성돼야 연애든 결혼이 가능한데 정체성이 낮아 이성에 대한 관심이나 친밀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연애와 결혼 등을 포기하는 도미노 현상이 생긴다는 것이다. 한 대학 2학년 남학생은 “이성교제를 하려면 하루 5만~6만원 정도 데이트 비용이 든다”면서 “연애 잘 한다고 취업되는 것도 아니고, 경제 부담을 느껴 이성교제는 삼가고 있다”고 했다. 전문의들은 대2병이 지속되면 우울과 피로가 겹치는 만성 정신질환에 시달릴 수 있다고 경고한다. 조아랑 강동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우울한 기분을 해소하려고 술ㆍ담배 등에 의존하면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말했다.
대2병에서 탈피하려면 경쟁이 아닌 삶을 성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전문의들은 조언한다. 조 교수는 “원론적이지만 삶은 무엇인가를 마련해 놓고 즐기는 것이 아닌 하루하루 과정이 중요하다”면서 “자기 정체성, 가치관부터 세워야 대2병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했다. 학과 친구ㆍ선배 등에게 취업 문제 등 고민을 털어 놓는 것도 효과적이다. 우리 뇌는 타인에게 고민을 털어 놓으면 문제를 객관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원은수 고대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혼자 문제를 풀겠다고 고민하면 문제 자체가 왜곡될 수 있다”면서 “객관적으로 고민을 들어줄 수 있는 사람과 이야기하면 하지 않아도 될 염려와 걱정을 덜 수 있다”고 조언했다.
김치중 의학전문기자
[대2병 진단표]
1 | 다른 사람과 스펙을 비교하며 자신을 비하한다 |
2 | 평소보다 우울해진다 |
3 | 미래에 대한 걱정이 많다 |
4 | 전과(轉科), 휴학을 고민한다 |
5 | 진로를 끝없이 고민하지만 결정하지 못한다 |
6 | 세상에서 나는 아무것도 아니다 |
7 | SNS에 내 상태를 수시로 올리고 토론ㆍ주장을 펼친다 |
8 | 중고생을 보며 “저 때가 좋았지”라는 말을 자주한다 |
9 | 자기 스케줄을 자꾸 확인한다 |
※ 9개 항목 중 5개 이상이면 ‘대2병’의심
출처: 한국일보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8-01-25 16:40:40 생생정보에서 이동 됨]
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