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 5,916  
어제 : 10,024  
전체 : 23,735,328   

  •  

    재능마켓&장터 쭘&툰 뿜&핫 수다방 고마워요 돈내나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1. 1.
      0
    2. 2.
      0
    3. 3.
      0
    4. 4.
      0
    5. 5.
      0
    6. 6.
      0
    7. 7.
      0
    8. 8.
      0
    9. 9.
      0
    10. 10.
      0

    "덥다" "춥다" 불만문자에 기관사 땀 뻘뻘

    페이지 정보

    작성자 마당발 작성일16-07-18 10:43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본문

    [동아일보]

    1


    “열차 출발합니다. 무리하게 승차하지 마시고 다음 열차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난달 21일 오후 5시 25분. 서울 지하철 7호선 신풍역에서 도봉산행 7272호에 오른 장재일 기관사(44)가 마이크를 잡고 출발을 알렸다. 그는 “문이 닫히려는 때 억지로 타는 승객 때문에 문이 세 차례 다시 열리면 열차가 출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여름은 지하철 기관사들이 제일 긴장하는 때다. 불쾌지수가 오르는 계절 특성상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이다. 2000년 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요원으로 입사한 16년 차 베테랑 기관사인 장 기관사와 퇴근시간 도봉산∼신풍 구간 36.3km, 34개 역 왕복 운행을 동행했다. 그는 3000여 명이 타고 있는 열차에서 승객들이 매 역에서 타고 내리는 동안 안전문(스크린도어) 센서와 볼록거울, 폐쇄회로(CC)TV로 안전을 확인했다. 1인 승무제인 5∼8호선에서는 기관사가 모든 승객의 안전을 책임진다.

    차내 냉방은 기관사의 최대 고민이다. 급증하는 냉난방 문자 민원 때문에 운행에 집중하기 어렵다. 5∼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지난해 받은 냉난방 문자 민원 9만5831건 중 57%가 여름(5∼9월)에 몰렸다.

    3호선, 9호선과 만나는 고속터미널역을 지나자 승객 무게로 차내 혼잡도를 측정하는 계기판 속 ‘승차율’이 40%를 넘었다. 최고 기온이 31도에 육박했던 이날 장 기관사는 열차 내 16개 냉방기 출력을 최대로 올렸다. 그는 “같은 칸에서 춥다, 덥다며 번갈아 민원을 넣는 문자에 대응하느라 안전문 확인, 비상 제동 등 안전을 놓치는 건 아닐지 긴장한다”고 말했다.

    2



    “춥다는 민원으로 냉방을 줄였더니 비상인터폰으로 ‘에어컨 안 트냐’며 욕을 하거나 온도가 자신과 맞지 않는다며 종착역까지 일곱 차례나 인터폰으로 험한 말을 한 승객도 있었어요. 비상 통신수단인 인터폰 벨이 울리면 기관사의 긴장은 최고 수준이 되죠. 이러다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승객 간 통신이 막힐 수도 있어요.”

    1시간 10여 분을 달려 도봉산역에 도착한 열차는 6시 40분 부평구청행 7331호로 바뀌었다. 퇴근시간 대표적인 혼잡 열차 순번이다. 지난해 인천 연장 후 승객이 늘었다. 승차율은 분당선 환승역 강남구청역에서 40%를 넘어 고속터미널에서 73%를 기록했다. 발 디딜 틈 없는 ‘지옥철’이다. “먼저 타겠다”며 닫히는 열차 문에 무리하게 승차를 하려는 승객 때문에 역마다 할당된 승차시간 30∼40초를 초과하기도 했다. “열차 간격을 맞추라”는 관제센터의 무전이 쉬지 않고 이어졌다. 장 기관사는 “무리한 승차로 운행 지연은 보통이고 승객이 문에 낄 수 있는 아찔한 일도 많았다”며 “혼잡시간에는 승객들이 2분 간격의 다음 열차를 타는 여유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2시간 반의 운행을 마친 장 기관사는 신풍역에서 다음 기관사에게 7331호의 남은 여정을 맡겼다. 2013년 1000여 명의 기관사 중 최고 기량을 인정받아 ‘자랑스러운 도시철도인상’을 받은 베테랑 기관사의 눈에 ‘지하철 속 세상’은 어떻게 보였을까.

    “일행을 기다린다며 문을 못 닫게 가방, 우산을 끼워 넣거나 약냉방 칸의 냉방이 덥다며 문자 민원을 보내는 것처럼 점점 남에 대한 배려가 사라지는 것 같아 씁쓸할 때가 많아요. 양보의 미덕이 안전사회를 만드는 첫걸음이라는 걸 잊는 건 아닌지 걱정입니다.”

    서형석 기자 skytree08@donga.com

    

     

     

    출처: 동아일보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8-01-25 16:38:16 생생정보에서 이동 됨]


    추천 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