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 10,964  
어제 : 9,664  
전체 : 23,598,680   

  •  

    재능마켓&장터 쭘&툰 뿜&핫 수다방 고마워요 돈내나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1. 1.
      0
    2. 2.
      0
    3. 3.
      0
    4. 4.
      0
    5. 5.
      0
    6. 6.
      0
    7. 7.
      0
    8. 8.
      0
    9. 9.
      0
    10. 10.
      0

    "응급실 못믿겠다" 17%…가장 큰 불만은 긴 대기시간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미카사 작성일16-08-01 10:11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본문

    기사 이미지 [연합뉴스TV 캡처]
    기사 이미지 [연합뉴스TV 캡처]
    구급차 신뢰율 47%…신뢰도 '119구급차-병원구급차-민간구급차' 順
    중앙응급의료센터, 5천명 조사결과…국민 40% "심폐소생술 가능"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구급차에서 응급실로 이어지는 우리나라 응급의료서비스 전반에 대한 국민 신뢰율이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생명이 위중한 환자 치료의 핵심 역할을 하는 응급실에 대한 신뢰율은 32% 수준으로 아주 낮았다.

    1일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가 지난해 12월 현대리서치에 의뢰해 20~80세 사이의 전국 성인남녀 5천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대국민 응급의료서비스 만족도 조사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구급차, 응급실 등 전반적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민 신뢰율은 47.3%에 머물렀다.

    신뢰율은 '신뢰한다'거나 '아주 신뢰한다'는 응답자 비율만 수치화한 개념이다.

    이 같은 신뢰율은 전년(41.1%) 대비 6.2% 포인트 증가한 것이지만, 아직 신뢰한다는 응답이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친다.

    특히 병원 응급실 서비스에 대한 신뢰율은 31.9%로, 전년(29.7%) 대비 2.2% 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응급실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전체의 17.2%로, 국민 6명 중 1명꼴이나 됐다.

    최근 1년 이내에 응급실을 찾은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29.5%로 전년(30.7%) 대비 1.2% 포인트 감소했다.

    응급실 이용 유형은 지역응급의료센터가 50.5%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지역응급의료기관(23.0%), 권역응급의료센터(15.4%), 응급의료기관 외 의료기관(6.1%) 등의 순이었다.

    응급실 방문 형태는 직접방문이 88.1%로 타병원 전원·의뢰(11%)보다 압도적이었다. 응급실 방문 후에는 '귀가'(67.6%) 했다는 응답이 '수술 또는 입원'(32.4%)보다 많았다.

    응급실을 이용한 주된 이유로는 '주말, 휴일, 야간에 이용할 수 있는 의료기관이 없어서'(48.8%), '약국이나 집에서 치료할 수 없는 응급상황이 발생해서'(45.4%) 등이 많이 꼽혔다.

    응급실에서 개선이 가장 시급한 부분으로는 응답자의 70%가 '의사 면담과 입원·수술까지의 긴 대기시간'을 지목했다.

    구급차서비스에 대해서는 절반을 넘는 55.1%가 '신뢰한다'고 응답해 전년(49.8%)보다 신뢰율이 5.3% 포인트 상승했다.

    구급차종별 신뢰율은 119구급차가 69.6%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병원 구급차(55.4%), 민간이송업체 구급차(45.9%) 순이었다.

    구급차서비스에 대한 불만을 보면 구급대원의 응대 태도가 불친절하다는 응답이 23.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과도한 비용(16.5%), 출동시간 지연(13.9%)등이 꼽혔다.

    최근 1년 이내 구급차서비스 이용자 중 구급차를 다시 이용하겠다는 응답은 90.6%로 높았는데, 구급차별로는 119 구급차(96.6%)가 병원 구급차(78.5%)나 민간이송업체 구급차(60.2%)를 크게 앞질렀다.

    갑작스럽게 심장이 정지한 환자를 구하는 데 꼭 필요한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지도는 53.8%로 집계됐다. 심폐소생술을 알고 있는 사람 중 실제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다는 응답은 75%에 달했으며,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적이 있다는 응답은 9.7%였다.

    조사 대상자 5천명 전체를 놓고 보면 심폐소생술 시행 가능 비율이 40.3%로 2014년(33.8%) 대비 6.5% 포인트가 증가했다.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정확한 방법을 몰라서'라는 응답이 58.0%로 가장 많았다.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기관은 남성의 경우 '군·예비군·민방위교육'(51.5%)이 가장 많았으며, 여성은 '직장'(31.3%)과 '소방서·소방협회'(22.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신상도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대한응급의학회 공보이사)는 "응급실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건 결국 과밀화 때문"이라며 "응급실의 과밀화는 환자들의 불편뿐 아니라 치료결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응급실 내에 중증과 경증환자 전용 시설을 별도로 운영하는 등의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연합뉴스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8-01-25 16:36:57 생생정보에서 이동 됨]


    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